"다국적제약사 대표 마다하고 바이오벤처 합류한 이유요? 지켜보시면 알게 될 겁니다. "
이명세(50) 먼디파마 전 대표가 바이오기업 샤페론에 새 둥지를 틀었다. 이 대표는 임상의 출신으로 릴리, 애보트, 먼디파마 등 글로벌 제약회사에서 20여년간 경력을 쌓아온 인사다. 한림의대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석사와 미국 펜실베니아대학 와튼경영대학 MBA를 취득했고, 일라이 릴리 미국 본사를 시작으로 한국릴리, 릴리 필리핀을 거쳐 한국애보트와 한국먼디파마 대표이사 등을 맡기까지 국내외를 넘나들며 기량을 발휘해 왔다.
이 대표는 4년간 사령탑을 맡았던 한국먼디파마에 작별을 고하고, 지난달 말부터 강남구 자곡동에 위치한 샤페론 연구소 겸 본사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 샤페론 창업주인 성승용(55) 대표를 도와 사업개발과 글로벌 임상개발, 네트워킹, 조직정비에 이르기까지 회사 안팎의 살림살이를 두루 담당하는 게 이 대표의 새로운 임무다.
지난 5일 출근 3일차를 맞은 이 대표를 샤페론 본사에서 만났다. 이 대표는 "다국적사 대표로서 누릴 수 있는 프리미엄을 많이 포기해야 했다"라면서도 "임상의사에서 제약업계로 넘어가고 미국 본사에서 영업직 사원으로 새롭게 출발할 때부터 딴짓하는 데는 익숙하다. 새로운 도전에 대한 부담은 없었다"고 웃음을 지었다. 그간 축적된 노하우를 쏟아부어 샤페론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는 데 일조하겠다는 생각이다.
이 같은 각오는 샤페론의 신약기술에 대한 확신이 있어 가능했다. 샤페론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성승용 교수가 2008년 창업한 회사다. 올해로 13년차니 신약개발 전문기업치곤 제법 연식이 된다.
성 대표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로 재직하던 지난 2004년 국제학술지에 새로운 염증개시 이론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면서 학계에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손상된 조직의 공통인자를 의미하는 DAMPs(Damage Associated Molecular Patterns) 모델에 관한 내용이다. 성 교수는 GPCR19와 P2X7을 경유하는 NLRP3 염증복합체 억제제로 기존 염증복합체 억제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고 의과대학 내에 학내벤처를 세웠다. 강원도 홍천과 서울 연구실을 오가며 아토피 피부염과 패혈증, 알츠하이머 치매, 궤양성 대장염 등 다양한 염증질환 관련 연구에 몰두하다보니 7~8년의 세월이 흘렀다. 성 대표가 신약 파이프라인들의 상업화 날개를 달아줄 파트너의 부재를 느끼기 시작한 건 이 때쯤부터다.
성 교수는 "GPCR19을 타깃하는 염증질환 치료제 개발 시도가 전무했기에 창업 초기 어려움이 많았다. 전임상과 1상임상 단계에서 안전성 검증을 마치고 2상임상 단계에 진입하면서 확신이 생겼다"라며 "신약파이프라인의 가능성을 알아보고 가치를 키워줄 수 있는 적임자를 찾아 헤매던 중 이명세 대표와 연이 닿았다"라고 털어놨다.
샤페론은 항암제, 항바이러스 치료제로 개발할 수 있는 나노바디 플랫폼과 면역질환을 광범위하게 아우를 수 있는 비고전적염증치료제(NCAIDs) 파이프라인을 갖추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치료제 '누세핀'과 아토피피부염 치료제 '누겔'은 임상2상시험 단계에 올려놨다. 향후 5년 안에 NCAIDs 상업화에 성공할 경우 스테로이드를 대체하고 염증질환 치료의 패러다임 전환이 가능하다는 판단이다.
이달 중 260억원 규모의 시리즈C 투자가 마무리되고 나면 내년 증시 상장과 미국 법인 설립을 본격 추진한다. 신약개발 앞단과 뒷단에 각각 전문성을 갖추고 있는 두 공동대표의 시너지가 절실한 시기다.
이 대표는 "개인적으로 사업개발과 기술수출, 인허가 등 신약개발 후기 단계에서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고 생각한다. 지금이야말로 샤페론에 합류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적기라고 판단했다"라며 "한국에서 만든 신약을 해외 국가에 팔겠다는 오랜 꿈을 샤페론에서 이뤄나가고 싶다"라고 말했다.